글 작성자: 망고좋아
반응형

📖 오늘 배운 내용 - 2021.11.03

  • 배열
  • 반복문
  • 함수 작성법
  • this
  • target
  • 객체
  • 논리 연산자

 

📝 배열

  • 배열은 여러 원소(element)가 모여서 이루어진다. 각자가 index를 가지고 있다.
    • 색인이란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 식별자이다.
  • array.length : 배열의 길이
  • array.push() : 배열 추가
 

[자바스크립트] 배열

배열 배열이란 순서가 있는 컬렉션을 저장할 때 쓰는 자료구조이다. 배열 선언 let arr = new Array(); let arr = []; // 대부분 이 방법을 사용해서 선언한다. let fruits = ["사과", "오렌지", "자두"]; // 초..

lakelouise.tistory.com

 

📝 반복문

html에 list 추가하기

let members = ['name1', 'name2', 'name3'];
let tempArr = []

for(let i = 0; i < members.length; i++) {
    tempArr.push(`
        <li>${members[i]}</li>
    `)
}
tempArr = tempArr.join('')

const ol = document.createElement('ol')
ol.innerHTML = tempArr;
document.querySelector('body').appendChild(ol);

 

 

[자바스크립트] while과 for 반복문

while과 for 반복문 자바스크립트의 반복문을 알아보자! while 기본 분법 let i = 0; while (i < 3) { alert(i); i++; } // 출력 : 0, 1, 2 let i = 3; while (i) { // i가 0이 되면 false기 때문에 반복문 탈출..

lakelouise.tistory.com

 

📝 함수

function 부가세_계산기(가격, 부가세율=0.1) { // 괄호 안에는 매개변수(parameter)
    console.log(가격 * 부가세율);
        return 가격 * 부가세율;
}

부가세_계산기(10, 0.2); // 괄호 안에는 인자(argument)
console.log(부가세_계산기(10, 0.2));
  • 함수는 return 뒤가 값이다.
  • 함수는 return을 만나면 종료된다.
 

[자바스크립트] 함수

함수 유사한 동작을 하는 코드가 여러 곳에서 필요할 때 함수를 사용한다. 함수는 어떤 코드를 캡슐화해서 실행을 여러 번 할 수 있게 해 준다. 함수를 실행시키는 것은 () 괄호이다. () 는 함수

lakelouise.tistory.com

 

📝 this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this에 대해서 다시 한번 알아보자!

🎯 자바스크립트 this 넌 누구냐! 호출한 놈(객체) === THIS 📝 전역에서 this 전역에서 this는 window객체이다. console.log(this); // window {...} 📝 일반 함수의 this 일반 함수에서의 this도 window이다...

lakelouise.tistory.com

 

 

[자바스크립트] 메서드와 this

메서드와 this 객체는 실제 존재하는 개체(entity)를 표현하고자 할 때 생성된다. 객체 프로퍼티에 저장된 함수를 '메서드’라고 부른다. this 의 값은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실행

lakelouise.tistory.com

 

📝 객체

 

[자바스크립트] 객체, 프로퍼티, 메소드

객체 객체는 관련된 데이터와 함수(프로퍼티와 메소드)의 집합니다. 즉, 객체는 케이스이고, 데이터를 의미하는 프로퍼티 와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을 의미하는 메소드

lakelouise.tistory.com

 

📝논리 연산자

 

[자바스크립트]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 (OR), && (AND), ! (NOT)이 있다. || (OR) 피연산자가 모두 false 인 경우를 제외하고 연산 결과는 항상 true alert( true || true ); // true alert( false || true ); // true aler..

lakelouise.tistory.com

 

💡 오늘 깨달은 것

  • 여러 태그를 선택하려면 document.querySelectorAll() 사용
  • 디버깅하고 싶다면 확인하고 싶은 부분에 debugger 작성 or 개발자 모드에서 brakepoint 걸어주기
  • indexOf : 문자열에서 찾고자 하는 문자의 index 정보를 알 수 있는 메소드
  • 오늘 이고잉 코치님이 모든 것을 다 공부하지 말고 주요한 부분을 학습하여라! 이미 공부한 사람들은 자신이 부족한 부분, 어려워하는 부분을 복습 학습하라고 말씀해 주셨다. 이 말 유념하면서 수업을 진행하면서 어렵고 복잡한 부분만 블로그에 정리하고 효율 있게 공부해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