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 옵셔널 체이닝 하는 방법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옵셔널 체이닝 (Optional Chaining)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옵셔널 체이닝 (Optional Chaining)
2021.11.29🎯 타입스크립트 옵셔널 체이닝 (Optional Chaining) 옵셔널 체이닝은 객체뿐만 아니라 배열과 함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접근하는 객체의 프로퍼티가 null 또는 undefined일 수 있는 optional property인 경우 if 문을 사용하지 않고 넘어가게 하는 체이닝 방법이다. es2020에서 추가된 문법이며 객체가 null 또는 undefined이면 undefined를 리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데이터 값을 리턴한다. 프로그래밍에서 ?는 보통 옵셔널을 뜻한다.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ex) data?.property 📝 &&와 ?.의 차이점은? 📕 && 사용 type Dog = { hasTail: boolean; 살랑살랑: () => string; }; /* hasTail..